-
목차
- 백일해란?
- 백일해의 전염성과 격리기간
- 백일해 전파경로와 예방법
- 연령대별 증상과 치료법
- 백일해 예방접종 후에도 걸릴 수 있을까?
백일해란 무엇인가요?
백일해는 Bordetella pertuss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기침이 백일(100일) 정도 지속된다고 해서 '백일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요, 특히 기침 끝에 "흡!" 하고 숨을 들이마시는 독특한 소리가 특징입니다.
과거에는 유아 질병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엔 청소년과 성인 감염도 늘고 있어요.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는 합병증 위험도 높아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백일해 전염성, 격리기간
전염성 (Infectiousness)
백일해는 매우 전염성이 강한 세균성 감염병입니다.
특히 기침을 시작한 초기 2주 동안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비말(침방울)**을 통해 주변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감염 후 1~2주: 초기 감기처럼 보여 경계심이 낮아질 수 있으나, 이때가 전염성이 가장 강함
- 항생제 치료 전에는 계속 전염 가능
- 가족, 학교, 어린이집, 학원 등 밀접 접촉 환경에서 빠르게 확산
참고로, 한 명의 백일해 환자가 평균 12~17명에게 전파시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홍역과 비슷한 수준의 감염력)
격리기간 (Isolation Period)
백일해는 전염성 때문에 격리조치가 필수입니다.
- 항생제 치료 시작 전: 최소 3주간 전염 가능
- 항생제 시작 후: 5일이 지나면 전염력이 급격히 감소, 이후 격리 해제 가능
정리하면:
항목 내용 잠복기 평균 7~10일 (최장 21일까지) 격리 필요 기간 증상 시작 후 항생제 복용 없이 21일 또는 항생제 복용 후 5일 격리 해제 기준 항생제 치료 시작 후 5일 경과 시 가능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동은 반드시 격리 권고 기준을 따르셔야 해요.
백일해 전파 경로 및 예방법
전파 경로 (Mode of Transmission)
백일해의 전파는 오직 하나, 바로 비말 전파입니다.
구분 내용 전파 방식 기침, 재채기, 말할 때 나오는 침방울을 통한 전염 접촉 가능 거리 약 1~2미터 내외의 밀접 접촉자 간접 전파 드물지만, 오염된 손이나 물건을 통해 코·입 접촉 시 가능성 있음 가장 흔한 전파 상황은 다음과 같아요:
- 부모가 감기인 줄 알고 병원 방문 안 하다가 아이에게 전염
- 유치원·학교에서 기침하는 아이 옆에 앉은 친구 감염
- 형제가 먼저 감염되고 가족 전체에게 확산
예방법 요약
- 감기 증상이 있어도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 방문 필수
- 기침 예절(마스크 착용, 손씻기) 반드시 지키기
- 가족 중 감염자 발생 시, 밀접 접촉자도 항생제 예방 복용 필요
- 예방접종은 기초 접종 + 추가 접종 + Tdap 추가 접종까지 완료
연령별 증상과 치료법
1. 유아 및 어린이 (0~12세)
- 증상: 발열 없이 지속되는 기침, 기침 후 구토, 무호흡
- 치료: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예: 에리쓰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충분한 휴식과 수분 공급
- 주의: 영유아는 입원 치료 필요할 수 있음
2. 청소년 및 성인
- 증상: 감기처럼 시작해 마른기침 지속, 밤에 심해짐
- 치료: 증상이 경미해 병원을 늦게 찾는 경우가 많아 조기진단이 중요합니다. 항생제 치료와 기침 억제제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 주의: 전염성이 높아 가족 간 전파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예방접종 맞았어도 걸릴 수 있을까요?
맞습니다.
어릴 때 DTaP 백신을 모두 맞았다고 해도, 백일해에 대한 면역은 시간이 지나면서 약해집니다. 그래서 청소년이나 성인이 된 후 면역이 떨어졌을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추가 팁!
- 청소년기(만 11~12세)에 Tdap 백신 추가접종 권장
- **성인(특히 영유아를 돌보는 보호자나 교사 등)**도 예방접종 이력 확인 후 추가접종 필요
- 산모의 경우 임신 27~36주 사이 Tdap 백신 접종 권장
맺음말
백일해는 단순 감기로 오해할 수 있지만 전염성도 강하고, 특히 아이들에게는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예방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지만, 한 번 접종했다고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가족 중 기침이 오래 지속되거나 아이가 이유 없이 기침을 많이 할 경우, 꼭 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예방접종 시기와 추가접종 여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뷰티 &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야모야병 증상 원인 유전 치료법|산정특례 등록 (0) 2025.04.20 봉와직염 증상|네일아트 후 손톱 옆 살이 부어오른다면 봉와직염을 의심하세요 (0) 2025.04.18 비문증 증상 원인 치료법|눈앞에 벌레처럼 떠다니는 점, 실명까지 될 수 있을까? (0) 2025.04.17 만성중이염 증상 원인 치료법|지속되는 귀 통증 주의! (0) 2025.04.16 이석증 증상, 원인, 자가진단까지 한 번에! 어지럼증의 진짜 이유 (0) 2025.04.15